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0;4(2):189-198.
Published online July 31, 2000.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도준형1, 강복수1, 주리1, 김석범2, 김상규2
1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영남대학교
성인 여성의 골밀도와 관련된 요인
도준형1, 강복수1, 주리1, 김석범2, 김상규2
1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영남대학교
Abstract
1997년 1월부터 10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여성 중 전화설문조사에 응한 347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대한 짝짓기를 실시하여 153명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각종 잘환의 과거력, 산부인과적 병력, 운동 및 식생활습관 등을 설무조사하였고, 종합검진결과중 본 연구에 필요한 생화학적 검사치와 골밀도검사치를 조사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score에 따라 정상군, 골감소증군, 공다공증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one-way ANOVA, 교차분석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골밀도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골밀도 검사결과 T score의 전체평균은 -1.6이었으며 정상군이 -0.09, 골감소군이 -1.78, 그리고 골다공증군이 -2.97이었다. 골다공증군의 평균신장과 체중이 가장 낮았으며 생화학적 검사중 LDH가 골다공증군이 가장 낮았다. 골감소증군에서 폐경기간이 153.0개월로 가장 길었으며 골다공증군 및 정상군 순이었다.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계수를 가지는 것으로는 신장(0.217), 체중(0.246), ALP(-0.255), 출산횟수(-0.169) 및 폐경기간(-0.261) 등이었으며, T score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 분석결과 폐경기간, 체중, 및 ALP가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폐경기간이 긴 고령의 키가 작고 체중이 적은 여성일수록 골다골증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 대한 예방적 1차 보건교육(primary education)을 실시함으로써 골절 등의 노인건강문제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골밀도 측정 외에 ALP 같은 생화학적 측정치를 골다공증의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G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56, Baengnyeong-ro, Chuncheon 24289, Korea
Tel: +82-41-570-2493    Fax: +82-41-570-2498    E-mail: mojapub@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